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녀 상속세 및 증여세 면제한도 정리! (+공제 기준 및 절세 전략)

by 칸무무 2024. 12. 16.

자녀를 둔 분들은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는데요. 자녀에게 상속이나 증여를 할 때 어떤 세금이 부과되는지, 그리고 어떤 면제 한도가 있는지를 알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녀 상속세 및 증여세의 기본 개념과 면제한도의 구체적인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녀 상속세와 증여세의 면제한도 정리

상속세 및 증여세

상속세는 피상속인이 사망한 후 상속받는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상속세는 돌아가신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경우는 9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세금 납부는 일시불이나 분납으로 가능하며, 최대 5년까지 나눌 수 있습니다.

증여세는 생전에 재산을 타인에게 이전할 때 부과됩니다. 이는 상속세와 매우 유사하지만, 시간적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자녀의 상속세 면제한도

자녀에게 상속할 때 적용되는 면제한도는 몇 가지 공제로 나뉘어 있습니다:

  1. 기본 공제: 상속인이 받는 모든 상속재산에 대해 기본적으로 5억 원이 공제됩니다. 만약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생존해 있다면 이 공제액은 10억 원으로 늘어납니다.
  2. 배우자 공제: 배우자가 상속받는 경우 최대 5억 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상속받은 재산이 이를 초과하면, 최대 30억 원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이 경우 과세표준 신고는 필수입니다.
  3. 자녀에 대한 공제(인적 공제): 자녀 1인당 5억 원이 공제되며, 미성년 자녀는 성인이 될 때까지 매년 1천만 원이 추가로 공제됩니다.
  4. 기타 공제: 직계존속, 형제자매, 기타 친족의 경우 공제 기준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피상속인과 10년 이상 거주한 자녀는 주택 가격에서 최대 6억 원이 공제됩니다.

자녀의 증여세 면제한도

증여세의 경우에도 면제 한도가 다릅니다:

  1. 직계존속(부모)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 면제 한도는 5천만 원입니다.
  2. 미성년자 수증자: 에는 2천만 원이 공제됩니다.
  3. 기타 친족: 증여받는 경우 1천만 원의 면제 한도가 있습니다.

증여세는 10년 단위로 적용되므로, 이 기간 동안 여러 번 나누어 증여할 수 있습니다.

최근 법 개정 동향

상속세의 최고세율 인하 및 과세표준 단계 축소에 관한 법 개정안이 최근 국회에서 부결되었습니다. 현재 상속세의 최고세율은 50%로 유지되고 있으며, 자녀 상속공제 확대에 대한 논의도 있으나 당분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상속세 개정 완벽 정리

절세 전략

상속세 및 증여세를 줄이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을 소개합니다:

  • 사전 증여 활용: 자산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재산을 미리 증여하여 세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증여와 상속의 조화로운 활용: 상황에 따라 증여와 상속을 적절히 조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녀 상속세 및 증여세 면제한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를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은 재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