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거래란?

이번 글에서는 선물 계약과 비슷하지만 조금은 다른 옵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옵션 거래의 정의
옵션 계약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자산(예: 주식)을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갖는 계약입니다. 이는 선물 계약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바로 옵션 계약은 이 권리를 행사할 의무가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옵션 계약에 투자함으로써 미래의 시장 가격에 대한 '보험'을 살 수 있습니다.
옵션 계약의 쉬운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A라는 투자자는 B라는 투자자로부터 다음과 같은 주식 옵션 계약을 맺습니다.
행사 가격: 100만 원만기일: 2023년 12월 31일
이 계약에 따르면, A는 2023년 12월 31일까지 B로부터 1주당 100만 원에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됩니다. A는 이 권리를 행사할 수도 있고, 행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A가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 가격이 120만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A는 100만 원에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20만 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만약 주식 가격이 80만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A는 100만 원에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20만 원의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옵션 계약의 종류
옵션 계약은 콜 옵션(Call Option)과 풋 옵션(Put Option)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콜 옵션은 특정 가격으로 특정 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하며,
풋 옵션은 특정 가격으로 특정 자산을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콜 옵션을 매수했다면 특정 가격으로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는 것이고, 풋 옵션을 매수했다면 특정 가격으로 주식을 팔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됩니다.
옵션 계약의 매력
옵션 계약의 가장 큰 매력은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큰 이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1억 원짜리 주식에 대한 콜 옵션을 매수하는 데 필요한 계약금이 100만 원이라면, 100만 원만 들여 1억 원짜리 주식의 가격 상승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지 않고도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줍니다. 또한, 옵션 계약은 시장 하락 시 손실을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풋 옵션을 매수하면 시장이 하락할 경우에도 최악의 경우 옵션에 투자한 금액만 잃으면 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일종의 헷지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옵션 계약의 함정
하지만 옵션 계약에는 몇 가지 함정이 존재합니다.
첫째, 옵션의 가격은 시장 변동성, 시간 가치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손실 위험이 존재합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리스크를 명심하면서 옵션 계약에 참여해야 합니다.
둘째, 옵션 계약은 만기일이 존재하며 만기일까지 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계약금만 잃게 됩니다. 이를 시간 가치 감소라고도 부르며, 투자자는 이러한 위험을 유념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옵션 계약은 경험과 시장 분석 능력이 요구되는 투자 상품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전략과 냉정한 판단 없이 옵션 계약에 뛰어들 경우 큰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옵션 계약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지식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결론
옵션도 선물처럼 쉬운 시장이 아니라는 말 밖에는 할 말이 없네요.
'경제와 금융 그리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 거래에서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이란? (0) | 2023.12.25 |
---|---|
선물, 옵션 계약에서 롤오버(rollover)란? (0) | 2023.12.25 |
방통위 내년 예산 5.9% 증액 발표 (0) | 2023.12.24 |
선물, 옵션에서 결제일 (settlement date)이란? (0) | 2023.12.24 |
선물 계약이란? (0) | 2023.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