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암호화폐411 이오스 디앱의 활용 분야, 전망 정리 "이오스"란? 이오소는 3세대 암호화폐 중 하나로, 이더리움에서 벗어나 자체 메인넷을 오픈한 지 6년 정도 됐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오스의 디앱(DApp)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오스는 빠른 속도와 저렴한 수수료, 높은 확장성 등이 특징입니다. 3세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의 단점 중 하나인 확장성을 해결하기 위해 생겨났습니다. 이오스 디앱 활용 분야 이오스 디앱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이오스 디앱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탈중앙화 금융(DeFi) 서비스: Anchor Protocol, Equilibrium, Waves.Exchange 등 NFT 거래소: Mintable, Newdex, OpenSea 등 게임: Upland, EOS Knights, The Six.. 2023. 11. 7. 암호화폐 거래소 종류 (중앙화, 분산형) 암호화폐 거래소란? 암호화폐 거래소는 디지털 화폐를 사고 팔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암호화폐 거래소는 암호화폐와 법정화폐를 교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암호화폐의 매수자와 매도자를 연결시켜주는 중개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거래소는 크게 중앙화 거래소와 분산형 거래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 중앙화 거래소는 거래소가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거래소에서는 거래가 빠르고 편리하며, 다양한 암호화폐를 지원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는 사용자가 거래를 위해 자산을 거래소에 맡기게 되므로, 거래소의 보안은 정말 중요한데요. 가끔씩 대형 거래소도 해킹을 당했다는 소식이 많이 들립니다. 그러나 중앙화 거래소의 한계점도 존재합니다. 거래소가 해킹당할 경우 사용자의 암호.. 2023. 11. 7. 블록체인에서 블록과 체인이란? 블록체인 = 블록 + 체인 블록체인은 블록과 체인이 합쳐진건데요. 이번 글에서는 블록과 체인의 각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블록과 데이터 저장의 단위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이 기술에서 중요한 개념은 "블록"과 "체인"입니다. 블록은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단위를 의미합니다. 각각의 블록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트랜잭션 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이루어지는 거래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의 경우, 블록에는 개인들 사이의 거래 내역이 저장됩니다. 블록 해시: 블록의 데이터를 해시화한 값입니다. 해시란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블록의 데이터가 변경되면, 해시 값도 함께 변경되므로 블록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2023. 11. 7. 블록체인 트랜잭션 의미 블록체인 트랜잭션이란? 블록체인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이동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암호화폐의 송금,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NFT의 생성 및 전송, 데이터의 저장 및 공유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인 블록체인의 핵심적인 요소로 작동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 데이터가 기록됩니다. 블록체인 트랜잭션의 구성 요소 블록체인 트랜잭션은 다음과 같은 정보로 구성됩니다: 송신자 주소: 트랜잭션을 발생시킨 송신자의 고유한 주소입니다. 이는 암호화폐의 경우 지갑 주소, NFT의 경우 소유자 주소와 같은 형태일 수 있습니다. 2. 수신자 주소: 트랜잭션의 대상이 되는 수신자의 주소입니다. 송금의 경우 수신자의 암호화폐 지갑 주소, N.. 2023. 11. 7.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