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8 암호화폐의 특징 (ft. 비트코인, 이더리움) 암호화폐의 특징 이번 글에서는 암호화폐의 가장 큰 특징과 암호화폐 기술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그럼 특징부터 알아볼게요. 탈중앙화 암호화폐는 중앙은행이나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습니다. 이는 중앙 은행과 달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관리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탈중앙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는 정부의 화폐 정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는 중앙 은행의 통제를 받지 않으므로 금융 시스템에서의 신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제적인 거래 시에는 국가 간의 통화 환전 과정 없이 직접 송금이 가능하므로 수수료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 은행에 의한 화폐 발행이 결정되지 않으므로 인플레이션.. 2023. 12. 16. 블록체인 활용 분야, 사례 블록체인의 활용 분야 블록체인은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여 체인 형태로 연결한 것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 활용 중이고, 앞으로도 계속 분야를 넓혀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블록체인의 활용 사례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란 의미는 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하지 않고(중앙 집중식) 여러 곳에 저장한다는 걸 의미합니다. 금융 금융 분야는 블록체인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인데요. 이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디지털 화폐입니다. 암호화폐는 중앙은행이나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관리합니다. 블록체인을 .. 2023. 12. 11. 블록체인의 분산형 구조란? 블록체인 분산형 구조 블록체인은 분산된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입니다. 이는 중앙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점을 가지며, 블록체인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록체인의 분산형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의 분산 저장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합니다. 이는 중앙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중앙 서버가 다운되거나 해킹을 당하더라도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으며, 데이터의 변조가 불가능합니다. 데이터의 분산 저장은 블록체인에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데이터의 유실 및 변조 방지: 블록체인은 중앙 서버가 없기 때문에 특정 서버가 다운되거나 해킹을 당하더라도.. 2023. 12. 10. 블록체인의 해시란? - 역할, 활용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연결하여 체인 형태로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입니다.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여러 개의 노드에 분산 저장하므로 데이터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블록체인은 암호화폐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연결한 것을 블록체인이라 하는데요. 오늘 알아볼 해시가 체인의 역할을 합니다. 해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해시의 역할 해시는 블록체인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 해시는 데이터(블록)의 고유한 지문 역할을 합니다. 이는 해시 함수에 의해 데이터가 일정한 길이의 고유한 해시값으로 변환되기 때문입니다. 같은 데이터를 입력하.. 2023. 12.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