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이나 맞벌이를 하는 경우 아이들 안전을 위해서 홈캠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요. 그러나 홈캠의 해킹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인데요. 지난해 보고된 해킹 사건의 대부분이 IoT 즉, 홈캠을 통해 발생했다고 하네요. 저도 홈캠을 쓰고 있는 입장에서 최대한 안전하게 홈캠을 이용할 수 있게 해킹 확인할 수 있는 방법과 예방법을 공유해 볼게요.
홈캠 해킹 당하면 생기는 증상
홈캠이 해킹당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몇 가지 징후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 카메라가 멋대로 움직이는 경우
회전 기능이 있는 홈캠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았는데도 카메라가 움직이는 현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해킹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 평소 듣지 못했던 소음이 나는 경우
홈캠의 스피커를 통해 특이한 소음이 들린다면, 해커가 기기를 조작하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 이상한 로그인 기록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로그인 기록이 남아 있다면, 해킹의 징후입니다. 자신의 계정에 접근된 흔적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LED 불빛의 변화
홈캠이 꺼져 있을 때, 알 수 없는 기기에서 LED 불빛이 깜빡이면 해커가 카메라를 활성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앱 접속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홈캠 앱에 접속이 되지 않거나, 영상 또는 소리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면 해킹 가능성이 있습니다.
홈캠 해킹 예방 방법
해킹으로부터 홈캠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예방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포함됩니다.
- 강력한 비밀번호 설정
숫자, 문자, 특수문자를 조합하여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합니다. 초기 설정된 비밀번호는 반드시 변경해야 하며, 다른 서비스와 동일한 비밀번호 사용은 피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비밀번호는 정기적으로 변경하되, 쉽게 추측할 수 없도록 해야 합니다. 적어도 3개월마다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
홈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최신 펌웨어를 설치하여 보안 취약점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는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2단계 인증 활성화
앱 설정에서 2단계 인증을 활성화하여 계정 접근 시 추가적인 보안을 강화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해킹 시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 공유 기능 제한
불필요한 사람들에게 홈캠 영상을 공유하는 것을 최대한 자제해야 합니다. 필요할 경우 최소한의 사람들에게만 제한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Wi-Fi 보안 강화
공공장소의 무료 와이파이에 연결하여 홈캠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개인용 와이파이 또는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하세요. - 렌즈 가리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카메라 렌즈를 가리는 것도 안전한 방법입니다. 노트북 웹캠과 마찬가지로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해킹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홈캠 해킹 사고 시 대처 방법
만약 홈캠이 해킹당한 의심이 든다면 즉각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다음은 대처 방법입니다.
- 제조사 고객센터에 문의
해킹 피해를 입었다고 판단되면, 즉시 홈캠 제조사의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 비밀번호 변경
현재 사용하고 있는 비밀번호를 즉시 변경하고, 이메일 계정의 비밀번호 또한 수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앱 삭제 후 재설치
홈캠 앱을 삭제한 후 재설치하고, 다시 로그인하여 비정상적인 접근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정기적인 보안 점검
앞으로는 홈캠의 보안 설정 및 앱 설정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필요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여 보안을 강화하세요.
결론
홈캠은 육아, 반려동물 관리, 부모님 안전 확인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그러나 해킹 위험을 인지하고, 철저한 예방 수칙을 지킨다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홈캠 해킹 여부를 확인하고 예방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으셨길 바랍니다.
결국 어느 전자기기든 해킹 위험이 있는데요. 특히 홈캠이 해킹당하면 바로 사생활이 노출되기 때문에 관리해 주시는 게 좋아요.
저는 홈캠이 필요할 때가 아니면 항상 렌즈를 가려놓고 사용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