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알아볼 도시형 생활주택은 1인 가구와 2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주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2009년 도입된 주택 유형입니다. 초기에는 고시원보다 더 고급화된 형태로 시작했으나, 현재는 독립적인 주택 유형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목적은 주거 안정과 주택 수요 충족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그럼 도시형 생활주택 유형, 특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도시형 생활주택 세 가지 유형
도시형 생활주택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원룸형은 전용면적이 50제곱미터 이하이며, 욕실과 보일러실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다세대형은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로 한 개동 면적은 660제곱미터 이하입니다. 연립형은 한 개동 면적이 660제곱미터를 초과합니다. 이러한 면적 기준은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층수 제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층수는 유형에 따라 제한이 있습니다. 다세대형과 연립형은 최대 5층까지 가능한데, 건축 심의를 거쳐야 합니다. 원룸형은 건축법상 요건을 충족하면 층수 제한이 없습니다. 이 같은 규정은 효율적인 주택 공급을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도시형 생활주택과 일반 다세대 주택 비교
도시형 생활주택은 면적, 층수, 건축 가능 지역에서 일반 다세대 주택과 차이점을 보입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85제곱미터 이하로 제한되며 최대 5층까지만 건축 가능합니다. 반면 일반 다세대 주택은 면적 제한이 없고 최대 4층까지만 허용됩니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형 생활주택은 도시 지역에서 효율적인 주거 단지를 형성하는 데 유리합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장점
도시형 생활주택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청약 자격이 제한되지 않은 점, 분양가 상한제의 적용을 받지 않음, 높은 전용률과 발코니 설치 가능성 등이 있습니다. 또한, 전용면적 20제곱미터 이하의 주택은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아 투자 목적으로도 유리합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단점
반면 도시형 생활주택에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아 일부 건설사가 폭리를 취할 가능성이 있으며, 원룸형의 경우 주차 공간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거 취약 계층이 이곳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아 주거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변화하는 도시형 생활주택
2021년부터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의 면적 기준이 50제곱미터 이하에서 60제곱미터 이하로 변경되었습니다. 새로운 기준에 따라 3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1.5룸에서 최대 3룸까지 설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주거의 다양화를 꾀하며, 주거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