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금융 그리고 주식

가변예치의무제도 의미, 목적, 효과

by 칸무무 2024. 2. 6.

가변예치의무제도 의미

가변예치의무제도 의미, 목적, 효과
가변예치의무제도 의미, 목적, 효과

최근 경제 용어들을 하나씩 정리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가변예치의무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변예치의무제도는 중앙은행이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은행에 대해 예치금을 일정 비율 이상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제도는 통화량 조절과 자본시장 안정에 활용됩니다.


가변예치의무제도의 목적

가변예치의무제도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목적은 통화량 조절입니다. 중앙은행은 가변예치의무비율을 조절하여 은행의 유동성을 조절하고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변예치의무비율을 높이면 은행의 유동성이 감소하고, 통화량도 감소하게 됩니다.

두 번째 목적은 자본시장 안정입니다. 가변예치의무제도를 통해 중앙은행은 은행의 해외자본 유출을 억제하고 자본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변예치의무비율을 높이면 은행은 해외자본을 유출하기 전에 중앙은행에 더 많은 예치금을 예치해야 하므로, 해외자본 유출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가변예치의무제도는 중앙은행이 독자적으로 도입 및 시행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한국은행은 2007년 외환위기 이후 가변예치의무제도를 도입하여, 통화량 조절과 자본시장 안정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가변예치의무제도의 특징

가변예치의무제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예치금의 일부만 중앙은행에 예치

가변예치의무제도는 은행의 총 예치금 중 일부만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합니다. 이로써 은행은 여전히 일부 예치금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예치금의 비율은 중앙은행이 결정

가변예치의무제도의 예치금 비율은 중앙은행이 결정합니다. 중앙은행은 통화량 조절이나 자본시장 안정 등의 목적에 따라 예치금 비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예치금의 기간은 중앙은행이 결정

가변예치의무제도의 예치금 기간은 중앙은행이 결정합니다. 중앙은행은 통화량 조절이나 자본시장 안정 등의 목적에 따라 예치금 기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가변예치의무제도의 효과

가변예치의무제도는 통화량 조절과 자본시장 안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통화량 조절 측면에서, 가변예치의무제도는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는 데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중앙은행은 예치금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은행의 유동성을 조절하고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 안정 측면에서, 가변예치의무제도는 은행의 해외자본 유출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은행은 해외자본을 유출하기 전에 중앙은행에 더 많은 예치금을 예치해야 하므로, 해외자본 유출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변예치의무제도는 은행의 유동성을 제약하고, 은행의 수익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또한, 은행의 자율성을 침해한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결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변예치의무제도에 알아봤는데요. 여러 경제 용어를 정리하다 보니 기본적으로 정부가 통화량 조절을 위해 여러 제도를 활용하는 게 보이네요. 

가변예치의무제도는 중앙은행이 통화량 조절과 자본시장 안정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제도입니다. 그러나 은행의 유동성을 제약하고, 은행의 수익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이러한 효과와 단점을 고려하여 가변예치의무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통화정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경제와 금융 그리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 옵션에서 헤지 의미 영향  (0) 2024.02.10
감독자협의회 뜻  (0) 2024.02.06
금융 하부구조 뜻, 특징, 종류  (0) 2024.01.19
금본위제 뜻  (0) 2024.01.19
구제금융 뜻, 사례  (0) 2024.01.17